안녕하세요. 꿀정보를 전달해 드리는 이꾸리입니다.
오늘은 올해 대두되는 이슈였던 '메타버스'에 대해 정리해보고,
메타버스의 향후 전망에 대해서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1. 메타버스의 뜻
메타버스는 '가상', '초월' 등을 뜻하는 영어 단어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의 가상세계를 말합니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VR,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최첨단 기술)보다 한 단계 더 진화한 개념으로, 아바타를 활용해 단지 게임이나 가상현실을 즐기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현실과 같은 사회·문화적 활동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뜻은 단순히 가상세계를 뜻하는 개념이지만 ASF라는 단체에서 메타버스를 증강과 시뮬레이션, 외적인 것과 내적인 것으로 나누어 4개로 분류하여 실질적으로는 훨씬 더 확장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네 가지 분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AR: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현실 세계에 가상의 물체가 겹쳐보이게함으로써 상호작용하는 환경 (포켓몬고, AcrossAir, Google SKY Map)
라이프로깅: 사물과 사람에 대한 일상적인 경험과 정보를 캡처하고 저장하고 묘사하는 기술. 사용자는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모든 순간을 텍스트, 영상, 사운드 등으로 캡처하고 서버에 저장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 (스마트밴드, 스마트 체중계, 구글 글래스, 삼성헬스, SNS, 인스타그램)
미러월드: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지만 정보적으로 확장한 것 . 미러월드의 사용자는 가상세계를 열람함으로써 현실세계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된다 (구글어스, MS 버츄얼 어스)
가상세계: 현실과 유사하거나 혹은 완전히 다른 대안적 세계를 디지털 데이터로 구축. 사용자들은 아바타를 통해 현실세계의 경제적, 사회적인 활동과 유사한 활동을 한다. (제페토, 온라인 게임)
위의 네 가지 분류를 사용자 입장에서 말씀드리자면 AR, 라이프로깅, 미러월드는 우리가 사는 현실을 바탕으로 하여 더 많은 정보나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가상세계는 현실을 기반으로 하지 않은 완전히 새로운 세계를 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해하기 쉽지 않고 미래에 어떻게 발전해 나갈지 예측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2. 메타버스의 확장
우리 주위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가상세계는 바로 온라인 게임입니다.
현재 온라인게임을 통해 미래 메타버스가 어떤 식으로 발전해 나갈 지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무래도 처음 온라인게임은 혼자 플레이하는 콘솔 게임의 확장 개념이었습니다. 점점 많은 사람들이 게임을 하게 되면서 게임에 투자하는 사람들도 생기고 게임을 통해 돈을 버는 사람들도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게임 내에서도 경제 규모가 생기기 시작한 것입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게임아이템의 현금 거래를 규제하고자 하는 움직임도 있었지만, 이제는 가상세계에서의 현금거래도 엄연한 거래라는 사실을 받아들여야할만큼 가상세계의 영향력은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게임 자체가 플랫폼이 되어 이용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아이템을 만들어 판매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제활동의 기회는 더 많은 사람들이 게임에 몰입할 수 있게 해주고 이용자는 게임회사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소비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가치를 게임으로부터 만들어낼 수 있게 됩니다. 게임이 메타버스화 되어가는 사례입니다.
실제 사례로 이탈리아의 명품 브랜드 구찌가 올해 로블록스에서 선보인 '디오니소스' 가방은 우리 돈 400만 원이 넘늠 가격에 팔려 화제가 됐었습니다. 패션 업계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유통업계와 금융계 등 산업계 전반에서 메타버스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롯데 하이마트는 '모여봐요. 동물의 숲'에 자체 브랜드인 '하이메이드(HIMADE) 섬'을 만들었습니다. 이용자들은 하이메이드섬에서 다양한 상품을 둘러보고 게임 이용자들과 소통할 수 있습니다. 편의점인 CU도 네이버의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에 가상 현실 편의점을 열기도 했습니다.
3.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
기존에 온라인 게임을 중심으로 널리 퍼졌다면, 전 세계에 사회적 거리두기를 퍼뜨린 코로나 바이러스는 가상의 세계가 게임 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 주었습니다.
메타버스라는 생소한 용어는 이전에도 있었지만 갑작스럽게 대두된 대에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이 컸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서 사람들 간의 물리적 접촉이 없어지면서 메타버스에 대한 교류가 활발히 진행되게 되었습니다. 전 세계 많은 사람들이 실외 활동을 줄이게 되었고, 학교나 학원 등의 교육기관은 메타버스를 도입하여 가상 세계에서 입시설명회나 학교 행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이는 회사에서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메타버스 오피스도 나왔는데, 회사원들은 마치 게임처럼 가상의 오피스에 자신의 캐릭터를 두고, 동료와 이야기하거나 사내 회의를 가집니다. 이 오피스 안에서 캐릭터 간 거리가 멀어지면 목소리도 작게 들린다고 하니, 나름 실제 오피스를 구현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4. MZ 세대의 영향
메타버스가 이렇게 대두된 이유에는 코로나뿐만 아니라 어린시절 부터 디지털 문화에 익숙한 MZ 세대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합니다. 태어나면서 또는 영 유아기 부터 디지털 기기나 문화를 접한 이들은 메타버스에 적응하기 쉬울뿐더러, 기성 세대에 비해 메타버스를 통한 교류에 거부감이 없습니다. MZ 세대가 경제 활동에 참여하게 될 2030년도 부터는 메타버스 시장이 좀 더 빠르게 확대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쏟아지는 영상과 점점 모든 것이 온라인화 되어가는 사회이지만 코로나 팬데믹으로 전 세계가 배운 것이 있다면 한사람의 작은 호흡, 작은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SK텔레콤은 자사 메타버스 서비스인 '이프랜드'에서 새해맞이 제야의 종 특별 행사를 31일 오후 11시부터, 일출 명소인 정동진에서의 해돋이 생중계를 새해 `1월 1일 오전 7시부터 진행한다고 합니다.
직접 가서 소원도 빌고, 새해 염원도 이루면 좋겠지만 시간이 안되시거나 해외에 계셔서 방문이 어려우신 분들은
메타버스를 통해 참여해보시는 것도 좋은 생각이라고 생각합니다~~
올 한 해 많이 힘드셨다면, 내년에 올 행복을 위해 노력하셨다고 생각하시고,
2022년에는 행복한 일들만 가득하시길 바라며,
꿀정보 전달해 드리는 이꾸리는 이만 물러나보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상공인 방역지원금 지급 대상 및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1.12.29 |
---|---|
2022년 올해의 삼재띠: 쥐띠, 용띠, 원숭이띠(삼재 뜻, 신년 운세 등) (0) | 2021.12.28 |
2022년 공휴일, 대체공휴일, 빨간날 & 이슈 총정리(선거, 올림픽, 월드컵, 아시안게임 등) (0) | 2021.12.27 |
[꿀정보]2022년 마케팅 트렌드 정리 (0) | 2021.12.24 |
[자취 팁] 알아두면 유용한 자취 꿀팁! (0) | 2021.12.21 |